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1Q84>의 10월 독일 출간에 맞춰 진행된 프랑크푸르트 룬트샤우 일간지와의 인터뷰 2번째 이야기입니다. 인터뷰는, 1편 끝에서 하루키가 말한 "선한 이야기의 힘을 믿고 긍정적인 메세지를 전달하고 싶다"는 말에 대한 이어지는 질문으로 시작합니다.
하루키: 조지오웰이 1949년에 집필한 <1984>는 미래를 구상하며 쓰여진 이야기입니다. 과거에 있는 작가로 하여금 미래의 이야기가 만들어졌죠. 그것은 저의 작품과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오웰의 '빅 브라더'는 매우 위험한 괴물같은 존재로, 그 아래의 모든 구성원들을 모니터 속에서 제어하며 독재자로 군림합니다. 하지만 내 <1Q84>에 등장하는 '리틀 피플'은 그 와는 반대로 존재합니다. 그들은 대부분 보이지않고 숨어 살며, 그들이 우리에게 무엇을 바라고 말하는지가 모호하고 비밀로 치부됩니다. '빅 브라더'는 드러나있는 우리에게 위협이되는 존재여서, 우리가 그를 아는 한 언제나 조심해야 합니다. 그러나 '리틀 피플'은 우리를 갑자기 오싹하게 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내 독자 모두가 다른 형태로 그들 사이에 존재해야 합니다. 말하자면, 독자 스스로의 판단, 행동이 내 소설에서는 중요합니다. 이것이 다른 점입니다.
하루키: 아마. 동양과 서양의 독자들이 다른 방식으로 그 이야기를 받아들일 것입니다. 서양 독자는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이야기를 받아들이며 '환상적인 사실주의', '포스트 모더니즘' 또는 '동양풍' 정도로 받아들일 것이고, 아시아 독자들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것입니다. 그러나 동서간의 차이는 쉽게 가까워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10 년 전에, 유럽의 제 소설을 읽은 독자들의 행동은, 이상하고 비논리적 상황에 혼란 을 많이 느꼈습니다. 한편, 그들은 단지 엔터테인먼트로서 제 이야기를 소비했던 것도 사실입니다. 지금은 우리가 비슷한 개념을 공유할 수 있게 되었을지 모르지만, 세상은 더 혼란스러워지고 있죠.
하루키: 안정적인 가치, 공공 통제 기관 및 시스템에 대한 불신은 서양에서도 적지 않게 존재합니다. 오늘날 준비가 되었나요? 경제 시스템은 어떻습니까? 밀레니엄 이후 몇 년 동안 혼란이 전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죠. 불안정은 이제 세계적인 현상입니다. 바로 이 불확실성이 우리를 연결시켜 줍니다. 그것은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는 더 좋은 세상을 기대했지만, 이러한 일련의 희망들은 다시 한 번 어김없이 깨지고 말죠. 9.11 테러 공격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아시다시피, 세상은 이제 공동체 밖에서 존재하고 있습니다.
하루키: 난 ism은 모두 사용되어 종식되었고, 우리가 느끼는 권력 역시 힘을 잃고, 포스트 이데올로기를 지나며 새로운 세계를 경험해야 합니다. 난(하루키 1948~) 이데올로기가 팽배했던 시절, 존 레논(1940~1980)과 체 게바라(1928~1967), 학생 운동의 열풍 속에서 청년기를 보냈습니다. 우리는 이데올로기없이는 살 수 없지만, 이것이 위험한 것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순수한 이념 이것은 더 위험합니다.
하루키: 네, 그들은 대부분 외롭습니다. 그들은 스스로 찾아 이 세계를 뛰어 넘어 바깥 세계로 나갈 수 있는길을 찾게 됩니다. 내 이야기의 인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려고 합니다.
하루키: 난 사랑의 힘을 굳건히 믿습니다.이것은 본능적이며, 삶의 최고의 순간입니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것들이죠. 우리는 그것을 계속 잡고 있어야 합니다.
하루키: 네, 내 책들은 언제나 새로운 젊은 독자를 찾을 것 같습니다. 내 독자의 첫 번째 세대인 50대 그들 역시 아직 이 세상에 남아 있습니다.
하루키: 아니요, 전 오직 제 아내에게만 보여줍니다. 그녀는 매우 힘든 비평가이죠.
하루키: 물론이죠! 그녀는 내 첫 독자입니다. 그녀는 뭔가 잘못되고있다고 느끼면, 언제나 저에게 제 이야기에 대한 그녀의 동의 여부를 말해줍니다.
하루키: 네, 제 캐릭터는 대개 인생의 고된 단계를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즉, 대부분의 경우 사랑하는 것을 믿고, 그것을 바랍니다. 아마도 이런 성향은 요즘 젊은 독자의 성격 구조와 반대아닌가요? 제가 요즘 젊은이들을 잘 몰라서요.
하루키: 일본에서는 사람들이 지하철에 서가며 읽기도 하는데, 독일에서도 그렇다면 너무 무겁고 두껍지 않을까 걱정되기는 합니다.
하루키: 아니오, 하지만 소설 집필에 필요한 특정한 어떤 기록에 대해서는 수집합니다.
하루키: 아니, 물론 아니죠! 예외가 있습니다.
하루키: 난 아직도 독서 자료에 중독되어 있는 학창 시절과 변함없습니다. 아직도 도스토프예스키, 톨스토이, 체호프 등의 장편소설을 탐독 하곤 합니다. <카라 마조프의 형제들>, <전쟁과 평화>를 세네번 읽어보세요. 읽기에 두꺼운 책들은 절 기분 좋게 만듭니다.
하루키: 네, 난 항상 한번 그곳에 가서 낯선 곳에 대한 어떤 것들을 알고 싶었어요.
하루키: 한 3~4년전에 다녀왔습니다. 그런데 그곳엔 큰 서점가가 없습니다. 시장에서 도서를 구입할 수있는 곳이 있는데, 바다 건너 본토에서 노점상들이 바구니에 담아와 펼쳐 놓곤 하는데, 그 바구니에 제 책들이 정말 많이 있었습니다. 정말 감동했습니다.
하루키: 나도 그러길 바랍니다. 하지만 난 여전히 특별할 것 없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이런말 하면 어떨지 모르겠지만, 전 아직도 가끔 사람들이 왜 내 책을 읽어 주는지 이해가 안 갈 때가 있습니다.
인터뷰 : Martin Oehlen, Sabine Voge, 원문: 프랑크푸르트 룬트샤우지
'하루키 인터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돈의 세계, 작가의 역할 - 무라카미 하루키 NYT 칼럼 ; '10.11.29 (2) | 2011.01.14 |
---|---|
하루키 원작, 영화 <상실의 시대; 노르웨이의 숲> 일본 CF 모음 (2) | 2010.12.19 |
하루키 <1Q84> 독일 출간 기념 인터뷰 1 -프랑크푸르트 룬트샤우지 (6) | 2010.11.12 |
무라카미 라디오 2010 <오키프 여사의 파인애플> (0) | 2010.11.08 |
<1Q84> 번역 중인 Jay Rubin이 말하는 하루키 스타일 (2) | 2010.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