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터뷰108

하루키 신작 장편 <거리와 그 불확실한 벽> 출간 인터뷰('23. 4월) 하루키의 이후 6년만의 장편이죠. 이 4월 13일 일본 출간을 했습니다. 초판으로 30만 부를 찍었다고 하네요. 신작이 공개된 당일 아침 5시에 인터뷰도 함께 공개가 되었는데요. 신작의 탄생 배경과 내용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본 인터뷰로 들어가기전에 신작 공개 3일 전인 4월 10일 하루키의 작품 관련 메세지가 신쵸사 홈페이지를 전해졌는데요, 그 내용 먼저 보고 가시죠. 코로나 바이러스가 일본에서 맹위를 떨치기 시작한 2020년 3월 초 이 작품을 쓰기 시작하여, 3년 가까이에 걸쳐 완성시켰습니다. 그 동안 외출하는 일도 거의 없고, 장기 여행을 하는 일도 없는 그런 상당히 이상한, 긴장을 강요 받는 환경 속에서 매일 이 소설을 끈질지게 쓰고 있었답니다. 마치 가 도서관에서 을 읽는.. 2023. 4. 22.
하루키 22년 뉴욕타임즈 "By the Book" 인터뷰 하루키의 2015년 에세이죠. 가 최근 7년만에 영문으로 미국 출간이 되었습니다. 이 타이밍에 맞춰 하루키의 영문 인터뷰도 조금씩 나오고 있는데요. 이 와중에 뉴욕타임즈에서 특집으로 운영 중인 "By the Book" 인터뷰 시리즈에 하루키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작가, 영화 감독, 배우 등 문화 예술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문학 읽기와 문학과 관련된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인터뷰하는 섹션이랍니다. 2015년에는 단행본으로 출간되기도 했네요. 하루키의 독서 습관과 함께 제가 알기론 그가 처음 밝히는 하루키 문학의 본질에 대해서도 밝힌답니다. 하루키 팬이라면 인터뷰를 끝까지 읽어 봐주세요 :D https://www.nytimes.com/2022/11/17/books/review/haruki-murakami-by-t.. 2022. 11. 22.
하루키 22년 10월 브루투스 인터뷰 - 특집 인터뷰 이후 1년 작년 10월 일본 무크지 브루투스에서 하루키 인터뷰 특집을 2차례에 걸쳐 상, 하로 게재했는데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연기된 와세다 대학의 무라카미 라이브러리 오픈 기념이기도 했고, 하루키의 자택 취재와 함께 그의 읽는 것, 듣는 것, 수집하는 것, 마시는 것 등 라이프 스타일 전체에 대해 심도 있는 인터뷰였어서 일본 내에서도 큰 화제가 되었답니다. 아래 포스팅 내용인데요, 이 인터뷰로 부터 정확히 1년이 지난 22년 10월말 하루키가 다시 브루투스지와 인터뷰를 진행했답니다. https://finding-haruki.com/934 하루키 21년 10월 브루투스 인터뷰 - 요즘 읽는 것, 듣는 것 이번에 준비한 포스트는 작년 10월~11월 잡지 브루투스와 가진 일련의 인터뷰에 관한 것인데요. 브루투스에서 .. 2022. 11. 20.
하루키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미국 번역 출간 기념 인터뷰 오랜만에 하루키 인터뷰를 가지고 왔습니다. 하루키 본인이 직접 소설가라는 직업에 대해서 솔직하게 털어 놓은 에세이죠. 가 이번에 미국에서 출간되게 되었습니다. 일본에서 15년에 처음 출간되고 이듬해 한국에서도 번역 출간된 책인데요. 미국에서는 다소 늦게 출간되었답니다. 영문 제목은 입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에세이의 내용을 읽고 제목을 지은 것 같습니다. 단순한 'Job'이 아닌 소명이나 천직의 의미를 지닌 'Vocation'을 썼네요. 하루키의 오랜 번역가이자 일문학 교수인 필립 가브리엘 번역이기에 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이번 인터뷰는 앤디 워홀이 공동 창립한 것으로 유명한 인터뷰 매거진에 실렸고요. 현지에서 10월 21일자로 소개되었답니다. https://www.interviewmagazine.c.. 2022. 11. 18.
하루키 20년 12월 日 다이아몬드지 인터뷰 (2편) 20년 12월 펜데믹이 절정이었을 무렵, 일본 경제 주간지 다이아몬드지와 가진 하루키의 인터뷰 2편이 이어집니다. 하루키는 진행 중인 라디오 방송을 통해 당시의 정치, 사회적인 이슈에 대해 돌려말하는 것 없이 직설 화법으로 한 마디씩 던지곤 했는데요. 그런 내용이 1편에 담겼고, 이번 2편에서는 돈과 경제적인 부분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말하고 있답니다. 시작합니다. Q: 무라카미씨는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관을 문장하는 표현하는 직업을 가지신 분이죠. 한 기업의 경영자는 그것을 비지니스로 표현하는데요. 무라카미씨는 그런 경영자와 같이 비지니스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궁급합니다. 하루키: 음, 비지니스 이야기는 저의 가장 약한 부분이네요. (웃음) Q: 예를들면 유니클로의 야나이 .. 2022. 8. 14.
하루키 22년 6월 스가 시카오 진행 J-Wave 라디오 인터뷰 지난 6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인 스가씨가 진행하고 있는 J-Wave 라디오 방송에 하루키가 등장했습니다. 일본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유명인들을 초대해 드라이브하면서 듣는 음악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이야기와 게스트가 추천하는 음악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인데요. 벤츠가 후원을 해서 'Mercedes-Benz THE EXPERIENCE' 라는 부제가 달려있네요. 하루키가 음악을 처음 접하게 된 학창 시절을 시작으로 하와이 체류 시절을 지나 인생을 전반을 함께 한 음악과 소설을 쓰는 즐거움에 대해 폭넓게 이야기 했답니다. 시작합니다! :D 스가: 학창 시절 무라카미씨의 을 읽은 후 무라카미 월드에 푹 빠져 버렸죠. 그리고 제가 음악을 시작하고 데뷔 앨범 를 잡지사의 편집자를 통해 무라카미씨에게 전달해 드렸.. 2022. 7. 24.
하루키 22년 4월 마이니치 신문 인터뷰 (후편: 전쟁을 멈추고 음악에 마음을 맡긴다) 지난 4월 마이니치 신문과 가진 하루키의 롱 인터뷰 후편 시작합니다. 영화 부터, 90년대 미국 진출 이야기 그리고 옴진리교 사린 테러 25년을 맞이한 소회 등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가 계속 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https://mainichi.jp/articles/20220422/k00/00m/040/159000c 村上春樹さん単独インタビュー(前編)「希求する心」掘り起こしたい | 毎日新聞 作家の村上春樹さん(73)が2022年4月中旬、東京都内で本紙の単独インタビューに応じました。全文を2回に分けて掲載します。前編は長年愛読し、翻訳を重ねてきた米作家スコット・フィ mainichi.jp Q: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무라카미씨는 3월 DJ를 맡고 계신 도쿄 FM '무라카디 라디오'를 통해.. 2022. 7. 17.
하루키 22년 4월 <마지막 대군> 번역 출간 산케이 인터뷰 이번에 소개해 드릴 인터뷰는 지난 4월 일본 산케이 신문과 가진 인터뷰입니다. 하루키가 최근 스콧 피츠제럴드의 마지막 장편인 을 번역 출간했는데요. 이 작품은 피츠제럴드가 집필 중 심장마비로 사망하면서 완성되지 못한 작품이랍니다. 피츠제럴드 사후에 친구에 의해 추가 편집과 보완이 진행되었다고 하네요. 이번에 이 작품을 하루키가 새롭게 번역 출간하면서 인터뷰가 진행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집필 중으로 보이는 장편 소설에 대한 힌트와 영화 에 대한 감상이 함께 담겨있는 이번 인터뷰 따라 가 보시죠. *원문 기사는 하나의 기사 형태로 간접 인용 형태를 취했는데요. 본 포스트에서는 편의상 직접 인용 형태로 재구성 했습니다. Q: 무라카미씨가 1981년 처음 번역 출간한 작품이 바로 피츠제럴드의 였죠. 그리고.. 2022. 7. 2.
하루키 '무라카미 라이브러리' 오픈 기념 뉴욕 스타일 매거진 인터뷰 이번에 소개해 드릴 인터뷰는 와세다 국제 문학관(무라카미 라이브러리) 개관을 기념하여 일본판 뉴욕 스타일 매거진과 11월 25일 진행된 인터뷰입니다. 뉴욕 스타일 매거진의 일본판은 2015년 부터 발간되었다고 하네요. 인터뷰 기사 구성은 직접 인용 형식이 아닌, 서술식 간접 인용 형태이나 편의상 포스팅은 Q&A 형태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Q: 라이브러리를 개관할 생각을 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하루키: 워낙 오래전 부터 레코드를 수집해 오기도 했고, 집에 책도 많답니다. 그런데 전 자녀가 없기 때문에 제가 죽고 나면 모두 흩어져 버리게 될테죠. 그것만은 원치 않았어요. 90년대 초 프린스턴 대학교에 있을 때 스콧 피츠제럴드 도서관을 본 적이 있는데 아, 이런 것이 있으면 좋겠다란 생각을 했었죠. 작가의.. 2022. 1. 1.
반응형